본문 바로가기
경제

24시간 가격 변동률과 펀딩 비율(Funding Rate)을 기준 Exit 전략

by INFOFI 2025. 2. 19.
반응형
24시간 가격 변동률과 펀딩 비율(Funding Rate)을 기준 Exit 전략
 

바이낸스에서 24시간 가격 변동률과 펀딩 비율(Funding Rate)을 기준으로 포지션(롱 또는 숏)을 잡는 전략은 시장의 방향성을 추종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한 Exit 전략은 위험 관리와 수익 극대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는 이를 위한 몇 가지 추천 Exit 전략입니다.


 

1. 고정 수익 목표 설정

  • 설명: 목표 수익률을 미리 정해두고 해당 수익률에 도달하면 포지션을 청산합니다.
  • 방법:
    • 롱 포지션: 진입가 대비 +2%, +3% 또는 +5%에서 청산.
    • 숏 포지션: 진입가 대비 -2%, -3% 또는 -5%에서 청산.
  • 장점: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계획적인 거래 가능.
  • 단점: 시장의 큰 움직임을 놓칠 수 있음.

2. 트레일링 스탑 (Trailing Stop) 활용

  • 설명: 일정 비율 또는 금액으로 스탑로스를 이동시켜 수익을 보호합니다.
  • 방법:
    • 진입 후 가격이 유리한 방향으로 1% 이상 움직일 경우, 스탑로스를 진입가보다 0.5% 위(롱) 또는 아래(숏)로 이동.
    • 이후에도 1% 단위로 조정.
  • 장점: 큰 상승이나 하락이 이어질 경우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음.
  • 단점: 시장의 작은 변동에도 스탑로스가 실행될 가능성.

3. 기술적 지표 기반 청산

  • 설명: RSI, MACD 또는 이동평균선(MA)을 이용해 포지션을 청산합니다.
  • 방법:
    • RSI 기준:
      • 롱 포지션: RSI가 70 이상일 때 청산.
      • 숏 포지션: RSI가 30 이하일 때 청산.
    • 이동평균선(MA) 기준:
      • 롱 포지션: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 청산.
      • 숏 포지션: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청산.
  • 장점: 시장의 실제 모멘텀을 반영한 전략.
  • 단점: 지표의 신호가 지연될 수 있음.

4. 시간 기반 청산

  • 설명: 특정 시간이 지나면 포지션을 강제 청산합니다.
  • 방법:
    • 롱/숏 진입 후 6시간, 12시간, 24시간 단위로 청산.
  • 장점: 과도한 포지션 유지로 인한 리스크 감소.
  • 단점: 수익 극대화에 제한적.

5. 펀딩 비율 변화 기반 청산

  • 설명: 펀딩 비율이 역전되거나 일정 수준으로 감소하면 포지션을 청산합니다.
  • 방법:
    • 롱 포지션: 펀딩 비율이 0 이하로 감소하면 청산.
    • 숏 포지션: 펀딩 비율이 0 이상으로 증가하면 청산.
  • 장점: 시장 심리 변화에 따라 빠르게 대응 가능.
  • 단점: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6. 손절가(Stop Loss) 설정

  • 설명: 특정 손실 구간에 도달하면 포지션을 청산하여 리스크를 제한합니다.
  • 방법:
    • 진입가 기준 1%~2% 손실에 스탑로스 설정.
  • 장점: 큰 손실 방지.
  • 단점: 시장 변동성에 의해 조기에 손절될 위험.

복합 전략 추천

  1. 진입 후 초반: 고정 손절가(1~2%) 설정.
  2. 중간 구간: 수익 목표(2~3%) 도달 시 절반 청산 + 트레일링 스탑 적용.
  3. 후반: 펀딩 비율 변화 또는 RSI 신호로 잔여 포지션 청산.

이 전략은 수익을 보호하면서도 시장의 큰 흐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