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롱숏 포지션 비율 24h Change %와 Funding Rate

by INFOFI 2025. 2. 16.
반응형
롱숏 포지션 비율 24h Change %와 Funding Rate

 

롱숏 포지션 비율을 분석할 때 24h Change %와 Funding Rate는 각기 다른 관점을 제공하며, 어느 지표가 더 신뢰성 있는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두 지표의 특징과 활용성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4h Change %

개념:

  • 24시간 동안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비율이 어떻게 변동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주로 시장 참여자들의 단기적인 심리 변화를 반영합니다.

장점:

  1. 단기적 시장 심리 확인:
    빠르게 변동하는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롱 또는 숏으로 이동하는 추세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 가격 급등락이 있을 때 롱 또는 숏 포지션의 증가/감소를 확인 가능.
  2. 단기 변동성 반영: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어떤 방향으로 베팅하고 있는지를 빠르게 볼 수 있습니다.

단점:

  1. 일시적 노이즈 발생:
    큰 포지션 청산이나 단기 트레이더들의 활동으로 인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예: 고래(대형 투자자)의 포지션 변동이 데이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2. 장기적인 시장 방향 부족:
    단기적인 추세를 강조하지만, 지속적인 시장 방향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2. Funding Rate

개념:

  •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파생상품 거래소에서 부과하는 이자율입니다.
  • Funding Rate가 양수면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 이자를 지불하고, 음수면 그 반대입니다.

장점:

  1. 시장 균형 상태를 반영:
    Funding Rate는 시장의 롱/숏 비율이 어느 쪽으로 치우쳐 있는지 보여줍니다. 높은 Funding Rate는 롱 포지션이 과도하게 많음을, 음의 Funding Rate는 숏 포지션이 많음을 나타냅니다.
  2. 추세 지속 가능성 판단:
    Funding Rate가 장기간 높은 수준(양수)으로 유지되면 롱 포지션이 과열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Funding Rate가 음수로 지속되면 숏 포지션의 과도함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지연 반영 가능:
    Funding Rate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단기적인 변동성이나 급격한 트렌드 전환을 즉각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가격 변동에 의한 왜곡:
    큰 가격 변동이 일어날 경우 Funding Rate는 오히려 시장의 심리를 왜곡되게 나타낼 가능성도 있습니다.

3. 둘 간의 비교

지표24h Change %Funding Rate

시간적 초점 단기적인 시장 심리 변화 장기적인 시장 방향성
신호의 안정성 변동성이 높아 노이즈 발생 가능 비교적 안정적이나 반응 속도가 느림
과열 여부 판단 확인하기 어려움 Funding Rate의 크기로 과열 상태 확인 가능
활용성 스캘핑, 데이 트레이딩에 유리 스윙 트레이딩, 포지션 청산 시 유리

4. 결론: 언제 무엇을 사용할까?

  1. 단기적 판단:
    • 시장 심리가 빠르게 변하는 상황(예: 뉴스나 발표 직후)에서는 **24h Change %**가 유용합니다.
    • 예: 가격 급등락 직후 롱/숏 포지션 비율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확인.
  2. 장기적 추세 판단:
    • Funding Rate는 과열 상태를 감지하고 추세의 지속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
    • 예: Funding Rate가 지속적으로 높은 양수(롱 포지션 과열) 또는 음수(숏 포지션 과열)일 때, 조정 가능성에 대비.

5. 더 신뢰성 있는 지표는?

  • 단기적 거래: 24h Change %
  • 장기적 추세: Funding Rate

그러나 둘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 신뢰하기보다 상호 보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예: 24h Change %에서 롱 포지션이 급증하고, 동시에 Funding Rate가 급격히 양수로 증가했다면 롱 포지션 과열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